반응형 전체 글101 도시가스 요금 감면 신청대상 위한 e-그린 우편서비스 실시 외 (취약계층 대상 TV수신료, 전기요금, 이동통신요금, 지역난방요금, 시내외 전화요금 감면 정보) 작년부터 도시가스, 전기세 등의 난방비 30% 이상 상승 현상은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근본적인 원인과 1월 중순에 찾아온 한파로 인해 전 국민들에게 막대한 금전적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도시가스 요금 감면 대상자를 찾아 능동적으로 취약계층으로 하여금 복지혜택을 적용하고 있다. 본 조건에 맞으시는 분들은 자세히 확인하시고 꼭 신청하시어 도움을 받으시기 기원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취약계층 대상 난방비 지원 대책 중 도시가스 요금 감면 혜택을 받지 않고 있는 복지대상자 발굴을 지자체를 통해 안내했다. 한국가스공사 가입자 정보 입수 후 복지대상자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잠정적 감면 예상가구인 66만 세대를 각 지방자치단체로 통보했다. 잠정적 감면예상자란 행정정보 확인이 어려운 등유.. 2023. 2. 15. 병역준비역 / 병역편입 안내문 (군입대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 요즘 병역준비역 / 병역편입 안내문이라는 용어가 많이 들리게 된다. 과연 이 용어는 무엇이며, 이에 속한 나는 어떻게 준비하고 살아야 할까? 그리고 나의 미래 인생 계획에 맞춰 어떤 군을 선택해야 할까?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연간 10만원 지원 ; 서울시) 신청하기 병역준비역 제1보충역 즉, 전시 현역 군인 다음으로 첫 번째 전투에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을 말한다. 2016년부터 제1보충역이라는 용어를 "병역준비역"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이는 세는 나이 19세부터 군입대 날짜를 기다리고 있는 모든 젊은이들이 이에 속한다. 즉, 2023년 기준 고3학생들부터 "병역준비역"으로 분류되며 세는 나이 20세가 되는 연도에 입영을 위한 신체검사 통지서를 받게 된다. 병역편입 안내문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있.. 2023. 2. 9. 은행업무 변경사항들 2023년 기준 장단이 있겠지만, 2023년 새해가 되면서 은행업무 변경사항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정부에서의 보이스피싱 피해액 1조 원을 넘기면서 더 큰 피해를 줄이기 위함이 발단이었었다. 이에 대해 간단하게 빠르게 알아보자.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연간 10만원 지원 ; 서울시) 신청하기 1. 현금인출기에서 계좌번호 직접 입력 시 입금 한도액 50만 원 계좌번호 입력 후 입금 제한하여 보이스 피싱을 방지하려는 방안으로 2023년부터 현금인출기에서 계좌번호로 직접 입력해서 입금할 때 한도액은 1회 기존 100만 원 --> 50만 원으로 감액된다. 2. 현금인출기에서 현금으로 입금 시 하루 300만 원 이상 불가 현금으로 입금한도가 300만 원 이하로 감액된다. 본건은 이미 시중의 여러 은행에서 진행 중이며, 계좌이.. 2023. 2. 8. 겨울 난방비 아끼는 법_도시가스, 지역난방비, 전기료 인상 外 '23년 1월 말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를 보고 인터넷 뉴스 속 사진의 고지서 주인공이 내가 되었다. 50만 원...... 정부 도시가스 36%, 지역난방비 34%, 전기사용료 18% 인상을 발표하며, 내 마음도 겨울 왕국이 되었었다. 지난달엔 36만 원이었는데 정말로 이걸 어떻게 해야 하는가? 겨울 난방비 아끼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보일러 밸브 조금만 열기 (아파트 기준) 각 세대별 아파트 부엌 싱크대 밑을 열어보면 각종 밸브와 배관들을 보게 될 것이다. 세대별로 보일러 밸브의 구조는 다르기에 "메인" 밸브를 1/4 만 열어 놓자. 또한 메인 배관과 연결된 각 방의 배관 밸브 또한 1/4 만 열어 놓자. 각 세대별로 차이는 있지만 100% 효과가 있으며, 난방비가 절감된다. 중앙 난방식, 도시.. 2023. 2. 8.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6 다음 반응형